눈이 오는 이유 - 눈의 종류
눈이 오는 이유??
기본 상식-구름은 작은 물방울들로 이루어져 있음.
그 작은 물방울인 구름 알갱이들이 뭉치고 뭉쳐서 커지면 무거워지고 중력에 의해 더 이상 공중에 떠 있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져 내리는데 그게 바로 비...
추가지식-구름 알갱이의 크기는 약 0.02mm이고 빗방울은 보통 2mm 정도라 구름 알갱이 백만개가 응결핵주변에 달라붙어 모여야 하나의 빗방울이 만들어집니다.. 응결핵이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할 때, 중심이 되는 작은 고체, 액체의 입자로 중심역할을 하는것은 염분 입자, 연기 입자, 토양의 미세 입자들입니다.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비처럼 구름 알갱이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과정과 거의 같습니다...차이점은 우리가 추운 겨울에 자주 볼수 있는 성에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고나 할까요!
눈의 생성 과정
구름 속의 과냉각된 물방울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됩니다... 이 수증기는 빙정핵에 달라붙어 바로 얼음으로 변하여 눈 결정을 만들죠..
눈 결정
눈 결정의 모양은 바늘처럼 뾰족한 침상, 평편한 판상 모양으로 구분 됩니다.. 눈의 결정은 아주 섬세해서 여러 방향으로 빛을 반사, 굴절시키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이는 것이죠.. 보통 눈 결정은 2mm, 눈 결정이 뭉친 눈송이는 1cm 정도 된다네요..
온대나 한대지방의 구름에는 매우 작은 물방울들과 매우 작은 얼음알갱이들이 들어 있습니다.
매우 작은 물방울들이 증발하여 수증기로 다니다가 매우 작은 얼음알갱이들에게 달라붙어 얼게 됩니다.그런 과정이 계속되면 얼음알갱이들이 커지겠죠?점점 커져서 무거워져서 떨어지게 되는데, 그게 바로 눈입니다.
하지만 겨울이 아닌 봄, 여름, 가을철에는 그리 춥지 않기 때문에 떨어지다가 녹아버리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비죠.
눈 결정은 아주 다양하긴 하지만 대부분 6각형 모양입니다. 눈의 결정 모양이 달라지는 이유는 눈이 성장할 때 구름의 기온, 수증기량의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하네요...
비가오는 이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 비의 생성과정
눈의 종류에 관해 알고 싶다면 ->눈의-종류
눈사진, 눈 풍경, 눈 그림, 서울 눈, 눈결정, 눈의 구조, 첫눈, 눈 모양, 눈 이미지, 눈꽃, 눈오는날, 날씨,내리는 눈, 겨울눈, 눈오는날, 겨울, 눈사람, snow
'깨알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녁 노을이 생기는 이유 (일출,일몰에 하늘이 붉게 변하는 이유) (0) | 2013.12.02 |
---|---|
눈의 종류 - 눈이 오는 이유 (0) | 2013.11.27 |
QR코드 - 정보 (0) | 2013.11.22 |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 - 무지개 종류 (0) | 2013.11.21 |
번개 천둥 치는 이유-뇌우 발생이유 (0) | 2013.11.09 |